소화기는 화재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각각의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최적의 소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1. 소화기의 기본 분류 (소화약제 기준)
소화기는 소화 약제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소화기 유형 특 징 주요 사용처
분말 소화기 | 분말이 불꽃과 산소를 차단해 소화 | 가정, 차량, 일반 건물 |
이산화탄소(CO₂) 소화기 | 산소를 제거하여 화재 진압, 잔여물 없음 | 전기실, 데이터센터 |
강화액(액체) 소화기 | 액체가 화재 표면을 덮어 연소 차단 | 주방, 기름 화재 |
포 소화기 | 거품(폼)으로 기름 위를 덮어 소화 | 주유소, 유류 저장소 |
할로겐계(HFC) 소화기 | 전자기기 보호, 잔여물 없음 | 서버룸, 박물관 |
리튬이온 배터리 전용 소화기 | 배터리 화재 대응, 냉각 효과 | 전기차, 배터리 저장소 |
🔥 2. 소화기 종류별 상세 설명
✅ (1) 분말 소화기 (Powder Extinguisher)
✔ 가장 일반적인 소화기로 다양한 화재 대응 가능
✔ 주로 가정, 사무실, 차량에 비치
📌 특징:
- 약제가 불꽃과 산소를 차단해 불을 끔
- 잔여물이 남아 청소가 필요함
- 사용 가능 화재: A (일반 화재), B (유류 화재), C (전기 화재)
📌 추천 제품: ABC 분말 소화기 (가정용, 차량용)
✅ (2) 이산화탄소(CO₂) 소화기 (Carbon Dioxide Extinguisher)
✔ 전기 화재 및 정밀 기기 보호에 적합
✔ 소화 후 잔여물이 남지 않음 (서버실, 연구소 사용)
📌 특징:
- 이산화탄소 기체를 분사해 산소를 차단하여 불을 끔
- 사용 가능 화재: B (유류 화재), C (전기 화재)
- 밀폐된 공간에서는 질식 위험 주의
📌 추천 제품: CO₂ 소화기 (서버실, 병원, 전산실용)
✅ (3) 강화액(액체) 소화기 (Wet Chemical Extinguisher)
✔ 주방 화재, 기름 화재 (K급)에 특화
✔ 액체가 화재 표면을 덮어 연소 차단
📌 특징:
- 기름 화재 시 거품막을 형성하여 재발화 방지
- 사용 가능 화재: A (일반 화재), K (주방 화재)
- 물과 기름이 반응해 불길이 커질 수 있으므로 물 사용 금지
📌 추천 제품: K급 주방용 소화기 (식당, 가정용)
✅ (4) 포(거품) 소화기 (Foam Extinguisher)
✔ 기름 및 유류 화재 대응
✔ 주유소, 창고, 공장에서 사용
📌 특징:
- 화재 표면을 거품(폼)으로 덮어 산소 차단
- 사용 가능 화재: B (유류 화재), A (일반 화재)
- 전기 화재(C급)에는 사용 불가
📌 추천 제품: 포 소화기 (주유소, 공장, 유류 저장소)
✅ (5) 할로겐계(HFC) 소화기 (Clean Agent Extinguisher)
✔ 고가 장비 보호 (서버실, 박물관, 도서관 사용)
✔ 소화 후 잔여물이 남지 않아 전자기기에 안전
📌 특징:
- HFC-227ea, FE-36 등의 기체 사용
- 사용 가능 화재: A (일반), B (유류), C (전기)
- 환경 보호 이슈로 일부 제품은 제한됨
📌 추천 제품: 할로겐계 청정 소화기 (전산실, 예술품 보호 시설)
✅ (6) 리튬이온 배터리 전용 소화기 (Lithium-Ion Battery Fire Extinguisher)
✔ 전기차, 배터리 저장소 화재 대응
✔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Thermal Runaway) 방지
📌 특징:
- AVD(Aqueous Vermiculite Dispersion) 소화제 사용
- 사용 가능 화재: 리튬이온 배터리, 전기차, 에너지 저장 장치(ESS)
- 기존 분말 소화기로는 리튬 배터리 화재 진압이 어려움
📌 추천 제품: AVD 소화기, F-500 소화기 (전기차, 배터리 창고)
🔥 3. 화재 유형별 소화기 추천
화재 유형 적합한 소화기
일반 화재 (나무, 종이 등) | 분말, 강화액 |
유류 화재 (기름, 주유소 등) | 포 소화기, 강화액 |
전기 화재 (서버실, 기기 등) | CO₂, 할로겐계 |
주방 화재 (식용유, 음식물) | K급 강화액 |
전기차, 배터리 화재 | AVD, F-500 |
🔥 4. 소화기 사용 방법 (PASS 원칙)
1️⃣ Pull - 안전핀을 뽑고
2️⃣ Aim - 불이 난 곳에 노즐을 조준
3️⃣ Squeeze - 손잡이를 눌러 분사
4️⃣ Sweep - 불꽃이 있는 곳을 좌우로 쓸어가며 소화
💡 Tip:
✔ 가정에서는 ABC 분말 소화기와 주방용(K급) 소화기를 함께 준비
✔ 전기차 운전자는 리튬 배터리 전용 소화기 필수
✔ 서버실, 박물관, 데이터센터에는 CO₂ 또는 할로겐계 소화기 사용
'시설,전기,기계,소방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충전후 계속 주차가능한지? (3) | 2025.03.24 |
---|---|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차 충전기 구간에 주차 가능한지? (0) | 2025.03.24 |
부하 용량에 따른 허용 전류, 전선 굵기, 차단기 용량 선정 방법 (0) | 2025.02.27 |
비상 발전기 배터리의 적정 전압 및 측정 방법 (0) | 2025.02.27 |
전기차 전용구역 주차위반 과태료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