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률

채무를 회수 하는 방법? 및 절차?

728x90
반응형

 

떼인돈(?) 받아 줍니다. 라는 흥신소 문구가 생각이나네요.

혹 채무자가 지급해야하는 돈을 지급하지 않고 잠수타거나 버틸경우 채권자가 할수 있는 조치를 알아보았습니다.

기본적인 절차는

지급명령 ->[ 소제기] -> 강제집행 등 절차를 따르면 되겠습니다.

 

✅ 소제기 vs 지급명령 차이 비교표


🧾 예시 상황별 선택

 

 

🗂  소제기 vs 지급명령 절차 흐름도

💸 A. 지급명령 절차

지급명령 신청서 제출
   ↓
법원 검토 후 '지급명령' 송달
   ↓
상대방이 14일 내 '이의 없음'
   → 지급명령 확정 (집행 가능)
       ↓
   → '이의 있음'
       ↓
     민사소송 절차로 전환

🕒 평균 소요: 1~2개월 (이의 없을 경우)

⚖️ B. 소제기 절차

 
소장 제출
   ↓
피고에 소장 송달
   ↓
답변서 제출
   ↓
변론기일 지정 → 증거 제출/주장
   ↓
판결 선고
   ↓
판결 확정 → 강제집행 가능

🕒 평균 소요: 3개월~1년+

 

📌 한 줄 요약

  • 소제기: 정식 재판을 통해 권리 주장 → 분쟁 해결용
  • 지급명령: 상대방이 이의 없을 때 빠르게 돈 받기용 간이절차

 

지급명령이 확정되거나 소제기에서 승소 판결을 받은 경우,
상대방이 자발적으로 돈을 주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합니다.
즉, 강제집행 절차를 통해 채권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 판결 또는 지급명령 확정 이후 채무 회수 절차


1. 📜 확정 판결문 or 지급명령문 확보

  • 지급명령 확정: 법원이 확정증명서 발급
  • 소송 승소: 판결문 + 확정증명서 필요

👉 이 문서가 바로 강제집행의 법적 근거입니다.


2. 🧾 채무자 재산 조사

강제집행을 하려면 채무자의 재산 위치를 알아야 합니다.

※ “재산명시신청”, “재산조회명령”도 가능 (법원 통해 신청)

3. ⚖️ 법원에 강제집행 신청

① 예: 은행 통장 압류

  1. 채무자 명의의 계좌를 확인
  2. 법원에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 신청
  3. 법원 결정 → 은행에 송달 → 계좌 동결
  4. 일부 또는 전액 회수

② 예: 급여 압류

  • 회사에 송달 → 월 급여의 일부를 채권자에게 보내도록 법적 강제

③ 예: 부동산 경매

  • 채무자 명의 부동산 → 법원에 압류 → 경매 신청
  • 경매대금에서 채권 회수

4. 💼 강제집행 후 실제 회수

  • 집행이 끝나면 법원에서 배당절차를 통해 지급
  • 집행비용은 우선적으로 배상받음 (채무자 부담)

📌 현실적인 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