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떼인돈(?) 받아 줍니다. 라는 흥신소 문구가 생각이나네요.
혹 채무자가 지급해야하는 돈을 지급하지 않고 잠수타거나 버틸경우 채권자가 할수 있는 조치를 알아보았습니다.
기본적인 절차는
지급명령 ->[ 소제기] -> 강제집행 등 절차를 따르면 되겠습니다.
✅ 소제기 vs 지급명령 차이 비교표

🧾 예시 상황별 선택

🗂 소제기 vs 지급명령 절차 흐름도
💸 A. 지급명령 절차
지급명령 신청서 제출
↓
법원 검토 후 '지급명령' 송달
↓
상대방이 14일 내 '이의 없음'
→ 지급명령 확정 (집행 가능)
↓
→ '이의 있음'
↓
민사소송 절차로 전환
🕒 평균 소요: 1~2개월 (이의 없을 경우)
⚖️ B. 소제기 절차
소장 제출
↓
피고에 소장 송달
↓
답변서 제출
↓
변론기일 지정 → 증거 제출/주장
↓
판결 선고
↓
판결 확정 → 강제집행 가능
↓
피고에 소장 송달
↓
답변서 제출
↓
변론기일 지정 → 증거 제출/주장
↓
판결 선고
↓
판결 확정 → 강제집행 가능
🕒 평균 소요: 3개월~1년+
📌 한 줄 요약
- 소제기: 정식 재판을 통해 권리 주장 → 분쟁 해결용
- 지급명령: 상대방이 이의 없을 때 빠르게 돈 받기용 간이절차
지급명령이 확정되거나 소제기에서 승소 판결을 받은 경우,
상대방이 자발적으로 돈을 주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합니다.
즉, 강제집행 절차를 통해 채권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 판결 또는 지급명령 확정 이후 채무 회수 절차
1. 📜 확정 판결문 or 지급명령문 확보
- 지급명령 확정: 법원이 확정증명서 발급
- 소송 승소: 판결문 + 확정증명서 필요
👉 이 문서가 바로 강제집행의 법적 근거입니다.
2. 🧾 채무자 재산 조사
강제집행을 하려면 채무자의 재산 위치를 알아야 합니다.

※ “재산명시신청”, “재산조회명령”도 가능 (법원 통해 신청)
3. ⚖️ 법원에 강제집행 신청
① 예: 은행 통장 압류
- 채무자 명의의 계좌를 확인
- 법원에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 신청
- 법원 결정 → 은행에 송달 → 계좌 동결
- 일부 또는 전액 회수
② 예: 급여 압류
- 회사에 송달 → 월 급여의 일부를 채권자에게 보내도록 법적 강제
③ 예: 부동산 경매
- 채무자 명의 부동산 → 법원에 압류 → 경매 신청
- 경매대금에서 채권 회수
4. 💼 강제집행 후 실제 회수
- 집행이 끝나면 법원에서 배당절차를 통해 지급
- 집행비용은 우선적으로 배상받음 (채무자 부담)
📌 현실적인 팁

728x90
반응형
'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제조합에 하자보증보험금 신청하는 방법 (1) | 2025.07.02 |
---|---|
고소와 고발의 차이 (0) | 2025.06.04 |
의료급여 책정 후 취소되는 경우 (1) | 2025.04.22 |
야간작업하는 근로자 특수검진 조건 및 비용 부담은? (1) | 2025.04.04 |
유치권 행사란? (1)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