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전기,기계,소방 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기기사 실기 회차별 합격률 시설 자격증 중 단연 으뜸 자격증인 전기기사 실기 회차별 합격률을 알아보았다전기기사는 기사 자격증중에 가장 취득하기 힘든 자격증 이지만 워낙 시험에 응시하는 사람이 많고,난이도도 들죽날죽하여지금은 전기기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다. 전기기사는 취득 후 2년 경력이 있어야 무제한 선임(중급)이 가능하며5년 경력이 되면 고급이 된다. 2018년 1회차는 역대급 최소 합격률이 나왔으며2020년은 전반적으로 어렵게 나왔다.2022년과 2023년 마지막차는 최대 합격률이 나와 난이도 조절이 실패한 듯 하다. 2024년 마지막 제3회차 전기기사 실기 합격률이 47.3%로 나왔습니다.전기기사 왜 이럽니까?너무 막 퍼주는거 아닌지요? 더보기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암기 요약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단답 문제를 표와 개념으로 정리하였고 서술형 암기 비급을 넣었습니다.대부분 암기방법은 에너지아카데미 교재를 참고 하였으며, 제가 추가하거나 변경한것도 있습니다. 풀버전은 PDF로 만든것을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다운 받으시면 힘들게 타이핑 한것이니 댓글 부탁드립니다. 더보기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공식 요약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관련 주요 공식 요약 입니다.기본적인것은 빼고 나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만 넣었습니다. 더보기 전기기사 필기 요약 전기기사 필기 요약분입니다.5과목중에 3과목 밖에 없네요...ㅠㅠㅠ전기기사 준비하면서 정리한 노트입니다.지금은 기억이 안나니 질문에 답할순 없을겁니다....ㅎㅎㅎ 더보기 에너지관리기사 필기 요약 에너지관리기사 자격증을 준비하면서 필기 시험때 끄적였던 내용 요약입니다.두서없이 썻지만 혹시나 도움이 될까 올려봅니다. 열역학연소공학열설비설계계측방법열설비재료 및 관계법규 더보기 정류기반 배터리 역할 및 교체 수변전실 정류기반에 배터리는 보통 9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12V 100A 를 사용 합니다. 교체주기 :배터리 전류를 측정하여 DC 12V이상이 나와야 하며 DC 12V 미만일때는 배터리를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일반적으로 4년~5년 주기로 교체를 해주어야 합니다. 역할 : 평상시 한전 교류전원(AC)을 받아 직류(DC)로 변환하여 VCB, ACB, ATS 등의 각종 차단기에 전원을 투입하는 역할을 하며 정전시에는 충전시켜 놓은 배터리를 통해 차단기나 비상등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더보기 파이 ø 뜻? 파이 하면 기호는 흔히 π 를 사용하고 원주율을 뜻한다. 하지만 원주율에서 사용하는 파이 말고 ø 생긴 기호로 공학에서 자주 사용하는데 π 와 같은 뜻일까요? 기호로써 파이는 π 와 ø 를 같이 쓰는데 원주율 말고 지름을 뜻하게 표현할 때 쓰는 단위로 쓰인다. mm를 기본으로 하므로 ø 는 길이단위로 mm와 같다고 보면 된다. 예) 보통 이어폰에서 사용하는 사이즈 3.5 ø = 지름이 3.5mm 더보기 지식산업센터 뜻? 동일 건출물에 제조업, 지식산업 및 정보통신산업을 영위하는 자와 지원시설이 복합적으로 입주할 수 있는 다층형(3층 이상) 집합건축물로서 6개 이상의 공장이 입주할 수 있는 건축물을 말한다. 지식산업센터는 아파트형공장에 정보통신산업 등 첨단산업의 입주가 증가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기존 아파트형공장을 지식산업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제조업 외에 지식산업 및 정보통신산업 등을 영위하는 자와 기업지원시설이 복합적으로 입주하는 건축물로 재정의된 것이다.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할 수 있는 시설은 다음과 같다. ① 제조업, 지식기반산업, 정보통신산업, 그 밖에 특정 산업의 집단화와 지역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산업단지관리기관 또는 시장 · 군수 · 구청장이 인정하는 사업을 운영하기 위한 시설 ② 벤처기업을 운영하기 위한 시설.. 더보기 전기안전점검을 위한 정전작업 3년에 한번씩 전기안전공사에서 실시하는 전기안전점검을 받게 되어있다. 전기안전관리자는 전기안전공사와 일정을 잡고 아파트 같은 경우는 입주민들에게 정전 작업이 있음을 알린다. 보통 건물은 사람들이 전기를 안쓰는 심야 시간에 안전점검을 하고 , 아파트 같은 경우는 평일 낮시간에 주민이 적으므로 평일 낮시간을 잡아서 정전 일정을 잡는다. 정전작업 시간은 2시간 정도를 잡는데 , 특별한 이상이 없으면 1시간에서 ~ 1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정전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한다. (복전 순서와 반대) 1. 수변전실 ACB에 있는 차단기를 각각 내린다. (나중에 헷갈릴수 있으니 미리 사진을 찍어두는게 좋다) 2. 차단기(VCB)를 개방한다. 3. LBS를 개방한다. 더보기 수변전시설 복전 및 정전작업 순서 보통 수변전시설 전기안전관리자로 선임하게 되면 정전에 대비해서 복전에 관한 매뉴얼을 만들어서 비치하게 한다. 복전하는 순서는 일반적으로 같지만 수변전시설 장비들이 기종이 달라서 약간 당황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전 기종은 보통 Pull turn 스위치 모양으로 되어서 당긴다음 돌리게 되어있는데 요즘 나오는 새로운 장비들은 디지털이라 버튼식으로 되어 있다. 버튼이 편리한 점은 있지만 쉽게 누를 수 있어 , 실수로 누르게 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에 새로운 장비로 많이 쓰는 VCB 와 ACB 를 기준으로 복전 순서를 만들어 보았다. ㅇ 기종 : VCB = GIPAM 115FI ACB = GIMAC II plus ㅇ 복전순서 : 결론은 VCB를 투입하고 ACB를 .. 더보기 열요금 단위 MWH 흔히 W(와트)는 전력 단위로 쓰고 전기에서 KW나 MW를 쓰는데 열요금 단위로 MWH를 써서 왜 열요금에서 MWH를 쓰는지 궁금해서 찾아보게 되었다. MW(Megawatt)와 MWh(Megawatt-hour)는 전력과 에너지의 단위입니다. - MW(Megawatt): 전력의 단위로, 1MW는 1백만 와트에 해당합니다. 전력은 특정 시간 동안 소비되는 에너지의 속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1MW의 전력은 1초 동안 1메가와트의 에너지가 소비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MWh(Megawatt-hour): 에너지의 단위로, 1MWh는 1시간 동안 1메가와트의 전력이 지속되는 동안 소비되는 전력량을 의미합니다. 즉, 1MWh는 1시간 동안 1메가와트의 전력을 사용한 결과로 얻어지는 에너지 양을 나타냅니다... 더보기 비전공자 전기기사 취득후기 및 필기,실기 공부방법 1. 필기 공부방법 개념과 기출 병행. 개념을 확실히 공부해야 실기때 힘들지 않음. 2. 실기 공부방법 ㅇ기출 위주로 반복 회독. ㅇ기출 중 못푸는 문제가 없어야 함. (이해 하는게 중요. 모르겠으면 암기라도 해야함) ㅇ 기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변형 문제도 풀수 있음. ㅇ 감리는 선택 , KEC는 필수 https://youtu.be/9kSSQTSPMas?si=PQrwh7eAnBAcrfkf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